카테고리 없음

경제 체제

jun성 2023. 8. 14. 05:34

경제 체제란

경제 체제란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체계화되어 형성된 경제 활동 시스템을 의미한다.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따라 전통, 관습, 종교 등에 의해 운영되는 전통 경제 체제, 정부의 명령이나 계획에 의해 운영되는 경제가 운영되는 계획 경제 체제, 시장의 원리에 의해 운영되는 시장 경제 체제가 있다. 또한 생산 수단의 소유 형태에 따라 생산 수단을 국공유화하는 사회주의 경제 체제, 생산 수단의 사유화하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로 나뉜다. 국가마다 문화, 역사, 환경적인 특수성이 반영되어 다양한 경제 체제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자본주의 시장 경제 체제에 사회주의 경제 체제가 혼합된 경제 체제의 모습을 보인다.

시장 경제 체제와 계획 경제 체제

시장 경제 체제는 경제 주체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하며, 경쟁에 의한 자원 배분을 지향한다. 이에 따라 사유 재산을 인정하며, 기업의 이윤 추구 활동을 보장해 준다. 이 과정에서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에 따라 자원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며 국가가 성장한다. 애덤 스미스가 주장한 보이지 않는 손이란 시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스로 효율성을 찾아간다는 주장이다. 초기 자본주의에서 주류였던 경제 논리였다. 정부는 자유로운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노력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유재산권을 보장하는 법안을 마련하거나,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 체제의 한계는 과도한 경쟁 추구 및 빈부 격차, 빠른 경기 순환으로 인한 변동성 증대가 있다. 계획 경제 체제는 일부 정부 관료들이 경제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판단하여 자원을 배분한다. 사유 재산은 원칙적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주요 생산 수단들이 국공유화된다. 이에 따라 개별 경제 주체들의 경제 활동이 제한된다. 정부는 자원 배분을 위한 계획과 명령하는 역할을 한다. 이 체제 또한 단점이 존재한다. 돈이라는 경제적 유인이 사라짐에 따라 개별 주체들이 경제 활동을 함에 있어 동기와 창의성, 활동성 등이 떨어진다. 이에 시장에서 비효율이 발생하고, 경제가 저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정부가 잘못된 판단을 내릴 경우 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혼합 경제 체제

혼합 경제 체제는 1930년 세계 대공황 이후,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시장의 자동 조절 기능에 한계를 느끼게 되면서 등장하게 된 체제이다. 기본적으로 시장의 자유를 보장해 주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한다. 이름 그대로 시장 경제 체제와 계획 경제 체제의 요소를 함께 적용한다.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이 시장 경제 체제 하에 다양한 경제 정책, 복지 정책 등을 실시하며 해당 체제를 선택하고 있다. 대한민국 역시 혼합 경제 체제를 기반으로 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231항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모든 국민의 사유 재산권을 보장한다. 또한 119조에 따르면 경제의 민주화를 위해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헌법 조항 등을 통해 대한민국이 혼합 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